서해 위성 발사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해 위성 발사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운영하는 위성 발사장으로, 장거리 로켓 및 미사일 발사 시험을 수행하는 시설이다. 1990년대 초 건설 조짐이 보였으며, 2010년대 초 완공되었다. 2012년 광명성 3호 발사, 2016년 광명성 4호 발사 등 인공위성 발사 및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 등에 사용되었다. 2018년 북미정상회담에서 폐쇄에 합의했으나,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재건되었다. 이 시설은 지리적, 군사적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우주 개발 -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는 북한의 우주 개발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위성 발사를 주도하여 국제 사회로부터 탄도 미사일 기술 개발 의혹을 받아 유엔 제재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위성 발사 기지 등의 시설을 운영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우주 개발 - 은하 3호
은하 3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개발한 우주 발사체로, 2012년에 두 차례 발사되어 인공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탄도 미사일 기술과 연관되어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기지 - 조선인민군 전략군
조선인민군 전략군은 조선인민군 소속의 전략 미사일 부대로, 다양한 탄도 미사일 개발 및 핵무기 개발을 진행하며 대륙간 탄도 미사일 운용 및 핵탄두 탑재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기지 - 황주 미사일 기지
황주 미사일 기지는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운영하는 미사일 기지로, 황해북도 황주군에 위치하며 1991년에서 1993년 사이에 건설이 시작되었고, 2016년에는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가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 우주 센터 - 케네디 우주 센터
케네디 우주 센터는 플로리다주 메릿 섬에 위치한 NASA의 주요 발사 시설이자 우주 기지로서, 아폴로 계획부터 아르테미스 계획까지 미국의 주요 우주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방문자 콤플렉스를 통해 일반인에게도 공개된 관광 명소이다. - 우주 센터 - 모하비 공항 및 우주항
모하비 공항 및 우주항은 캘리포니아주 모하비에 위치한 공항이자 우주항으로, 해병대 훈련 기지로 사용된 후 민간 운영으로 전환되어 항공기 시험, 우주 산업 개발, 항공기 정비 및 보관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특히 민간 우주 개발의 중심지이자 "비행기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서해 위성 발사장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해 위성 발사장 |
원어명 | 서해위성발사장 |
한자 표기 | 西海衛星發射場 |
로마자 표기 | Sŏhae Wisŏng Palsajang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좌표 | 북위 39.660도 동경 124.705도 |
시설 정보 | |
유형 | 우주 기지 |
건설 시작 | 1990년대 |
건설 주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상태 | 활동 중 |
![]() | |
행정 구역 정보 | |
행정 구역명 | 동창리 |
한글 | 동창리 |
한자 | 東倉里 |
로마자 표기 | Tongch'ang-ri |
속한 군 | 철산군 |
2. 역사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은 규모가 작아 단기간에 여러 시험을 실시할 수 없었지만, 동창리 발사장은 규모가 크고 더 정교하여 짧은 시간에 여러 차례 발사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란의 테헤란 외곽에 있는 로켓 시험 시설과 비슷한 규모의 로켓 모터 테스트 시설도 갖추고 있다.
2016년 9월 20일, 조선중앙방송은 "새형 정지위성 운반 로켓용 대출력 발동기 지상분출 시험에서 대성공했다. 김정은 동지께서 서해 위성 발사장을 찾아 시험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46] 이를 통해 북한의 공식 명칭이 서해 위성 발사장임을 알 수 있다.
2013년 8월, 북한은 노동신문을 통해 6기의 은하 로켓이 있다고 주장하며, 은하 4호와 은하 5호는 지구관측위성, 은하 6호, 은하 7호, 은하 8호는 통신위성, 은하 9호는 달 궤도 탐사위성 발사용이라고 밝혔다.[47] 2017년 12월 11일, 김정은 위원장이 군수공업대회에서 은하 4호 발사를 지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2012년 이후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이루어진 주요 발사 및 시험은 다음과 같다.
- 2012년 4월: 광명성 3호 발사 (실패)
- 2012년 12월: 광명성 3호 2호기 발사 (성공)
- 2016년 2월: 광명성 4호 발사 (성공)
- 2022년 12월: 고체 연료 엔진 시험
- 2024년 5월: 미사일 발사 (공중 폭발)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은 규모가 작아 단기간에 여러 시험을 실시할 수 없었지만, 동창리 발사장은 규모가 크고 더 정교하여 짧은 시간에 여러 차례 발사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란의 테헤란 외곽에 있는 로켓 시험 시설과 비슷한 규모의 로켓 모터 테스트 시설도 갖추고 있다.1990년대 초부터 건설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 초에 더욱 뚜렷해졌다. 2008년 제인스 인포메이션 그룹(Jane's Information Group)이 디지털글로브(DigitalGlobe)의 위성 이미지를 통해 건설의 주요 진전을 발견했다. 사눔동 미사일 연구 공장(Sanum’dong missile research factory)에서 발사대 및 철도를 이용해 우주 센터로 이동하는 초기 은하 3호(Unha-3)급 부스터 프로토타입 1, 2단의 물류 테스트, 인력 시설 인프라 테스트 및 훈련이 2009년 5월 29일부터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이러한 테스트 결과, 군 및 설계 전문가들은 15km 도로 접근 물류 문제를 줄이기 위해 시설 접근 철도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동해 쪽에 있는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은 조선총련(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과협(재일본조선인과학기술협회) 등 재일 조선인 사회의 협력을 얻어 건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황해 쪽에 위치한 동창리 발사장은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8년 미사일 발사 실험을 시작으로 무수단리 발사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급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을 반복해 왔지만, 연료 주입 및 제어·조종 시설이 낡아 원활한 운용이 어려웠다. 이에 2000년 초에 제2의 발사장으로 동창리 발사장의 건설이 시작되었다.[38]
동창리 발사장에는 이동 가능한 발사대 2대와 높이 10층 상당의 지지대, 로켓 엔진 연소 시험동, 지상 관제소 등이 있다.[38][39] 규모는 무수단리 발사장의 3배 정도이며, 시설도 대폭 현대화되었다.[38]
특히 미사일 발사 준비의 중요한 단계인 액체 연료 주입이 지하 시설에서 완전 자동화로 이루어져 미국의 군사 위성 감시를 피할 수 있다고 한국군 당국은 보고 있다.[38] 또한 동창리 발사장은 대부분의 시설이 자동화되어 단시간에 여러 발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고 한다.[38]
2011년 초, 10년간의 건설 끝에 완공되었다고 보도되었다.
2. 2. 로켓 및 위성 발사
2012년 4월 13일, 북한은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광명성 3호를 탑재한 은하 3호 로켓을 발사했으나, 발사 약 2분 만에 로켓이 공중 분해되어 황해에 추락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례적으로 발사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42]2012년 12월 12일, 북한은 광명성 3호 2호기를 탑재한 은하 3호 로켓을 발사하여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는 북한이 최초로 인공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사례이다.[3][4]
2016년 2월 7일, 북한은 광명성 4호를 탑재한 장거리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9] 그러나 국제사회는 이를 탄도 미사일 시험으로 간주하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를 통해 강력하게 비난했다.[10][11][12]
2017년 12월 11일, 김정은 위원장이 군수공업대회에서 은하 4호 발사를 지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2022년 12월 15일, 고체 연료 엔진 시험이 실시되었다.
2024년 5월 27일, 서해에서 미사일이 발사되었으나 공중에서 폭발했다고 대한민국 군이 밝혔다.
2. 3. 시설
서해 위성 발사장은 6km2가 넘는 면적에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발사대, 정지 로켓 엔진 시험대, 발사체 점검 및 처리 건물, 발사 통제 건물, 대규모 지원 구역, 복합 본부 건물, 출입 통제 지점 등이 있다. 이 시설은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보다 5배 더 크다.[30]
특히, 미사일 발사 준비의 핵심 단계인 액체 연료 주입이 지하 시설에서 완전 자동화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미국의 군사 위성 감시를 피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38]
2023년 5월 현재, 이 시설에는 두 개의 궤도 발사대가 있다:[17]
- 주 발사대: 간트리 타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은하 3호 발사체의 궤도 발사 시도 3회를 지원했다.
- 소형 발사대: 더 최근에 건설되었으며, 천리마 1호 발사체의 시험 비행에 사용되었다.
한국군 관계자는 발사 시설 건축비를 4억달러로 추산하고 있다.[40]
2. 4. 지리적, 군사적 이점
서해 위성 발사장은 다음과 같은 지리적, 군사적, 정치적 이점을 가진다.
- 영변 핵시설에서 약 70km, 평양 인근의 미사일 제조 공장에서 약 200km 떨어져 있어, 핵탄두와 장거리 미사일의 운반 및 장착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38] 평양 산음동 병기 공장에서 제조한 장거리 미사일을 군용 열차에 싣고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으로 운반하는 데 4~5일이 걸리며, 미국 군사 위성의 감시를 피하기 어렵다. 그러나 동창리 발사장은 하루 만에 미사일을 수송할 수 있으며, 핵탄두를 미사일에 장착하기 위해 영변의 핵 기술자가 발사장에 들어가는 것도 더 용이하다.[38]
- 북한과 중국 국경인 압록강 하구에서 직선거리로 약 70km 떨어져 있어, 미국과 한국이 동창리 발사장에 공격이나 공중 폭격을 가할 경우, 항공 전력도 중국의 방공식별구역에 접근해야 하며, 중국의 국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38]
-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은 수심이 깊은 동해 해안의 넓은 평지에 건설되어 있어, 잠수함 등 해상 전력의 외부 공격에 취약하다.[38] 반면, 동창리 발사장은 수심이 얕은 서해 지역에 건설되어 해상 전력의 접근도 쉽지 않다.[38]
-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면, 이륙 초기 고도가 낮아 동해에서 대기하는 미국과 일본의 이지스함에 의한 SM-3 미사일에 요격될 가능성이 높다.[38] 그러나 동창리 발사장에서 발사하면, 북한 상공을 통과하는 동안 고도가 높아져 요격 위험이 감소한다.[38]
- 북한은 해상에서의 미사일 관측 능력에 한계가 있어, 내륙 지역을 통과하는 동창리 발사장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추적 능력을 확보하는 데 더 유리하다.[39]
3. 북미정상회담과 해체 및 재건
2018년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기지 폐쇄에 동의했고, 이후 2018년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동창리 엔진 시험장 및 미사일 발사대 영구 폐쇄'가 명시되면서 서해 위성 발사장의 해체가 시작되었다.[18][19][20][21] 그러나 2019년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북한은 발사장을 재가동했다.[23][24][25]
3. 1. 2018년 북미정상회담과 해체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2018년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은 동창리 미사일 기지 폐쇄에 동의했다. (최종 합의문에는 포함되지 않음)2018년 7월, 북한은 서해 위성 발사장을 해체하기 시작했다.[18] 7월 20일부터 22일 사이에 촬영된 위성 사진에는 탄도 미사일, 우주 발사체용 액체 연료 엔진 개발에 사용된 로켓 엔진 시험대와 우주 발사체가 발사대로 옮겨지기 전 조립되던 레일 장착 처리 건물이 파괴된 모습이 담겨 있었다.[19] 2018년 8월 3일, 상업용 위성 사진을 통해 서해에서 수직 엔진 시험대와 연료/산화제 벙커 파괴 등 추가적인 해체 활동이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20]
2018년 9월 19일, 2018년 제3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로 나온 9월 평양공동선언에는 '동창리 엔진 시험장 및 미사일 발사대 영구 폐쇄'가 합의 조항 중 하나로 명시되었다. 같은 해 9월, 김정은과 문재인 대통령은 "9월 평양공동선언"에 서명했는데, 여기에는 북한이 서해의 해체를 완료하고 외국 전문가가 미사일 엔진 시험장과 발사대 해체를 참관하도록 허용하겠다는 약속이 포함되었다.[21]
2018년 8월, 38노스는 민간 위성 사진을 통해 서해 위성 발사장의 해체가 시작되었음을 확인했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도 합의 문서에 "(발사장을) 관계국 전문가 입회하에 영구 폐기한다"라고 명시되었다.[43]
3. 2. 2019년 북미정상회담 결렬과 재건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종료된 후, 오픈 소스 위성 이미지에서 서해 위성 발사장이 재건 중이며 가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3][24][25] 2019년 12월 7일, CNN이 입수한 위성 이미지에서 시설의 엔진 시험대에서의 활동과 대형 컨테이너의 존재가 포착되었으며, 이는 위성 발사체와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엔진 시험을 재개하려는 계획을 나타낼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26] 다음 날, 북한은 이 기지에서 "매우 중요한 시험"을 수행했으며, 가까운 미래에 국가의 전략적 지위를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7]참조
[1]
뉴스
U.S. identifies North Korea missile test site it says Kim committed...
https://www.reuters.[...]
2018-06-21
[2]
뉴스
North Korea agrees to dismantle missile test site as Kim Jong Un, Moon Jae-in sign deal
https://www.usatoday[...]
2019-01-14
[3]
웹사이트
North Korea reports successful launch of controversial rocket
http://www.msnbc.msn[...]
MSN/NBC
[4]
웹사이트
NORAD acknowledges missile launch
http://www.norad.mil[...]
North American Aerospace Defense Command
2012-12-11
[5]
웹사이트
1998.08.31 - Kwangmyŏngsŏng 1
http://www.astronaut[...]
2012-12-15
[6]
웹사이트
N.Korea says it successfully launched satellite
http://uk.reuters.co[...]
Reuters
2012-12-15
[7]
웹사이트
NORAD and USNORTHCOM monitor North Korean launch
http://www.northcom.[...]
2012-12-15
[8]
뉴스
North Korea space launch 'fails'
http://news.bbc.co.u[...]
BBC
2012-12-15
[9]
뉴스
Controversial Rocket Launch: North Korea successfully places Satellite into Orbit
https://spaceflight1[...]
Spaceflight101
2023-02-05
[10]
뉴스
UN Security Council vows new sanctions after N Korea's rocket launch
https://www.bbc.co.u[...]
2016-02-07
[11]
웹사이트
U.N. Security Council condemns North Korea launch - CNN.com
http://www.cnn.com/2[...]
2016-02-07
[12]
뉴스
North Korea rocket launch: UN security council condemns latest violation
https://www.theguard[...]
2016-02-07
[13]
뉴스
North Korea defies world with launch of long-range rocket
https://www.abqjourn[...]
Albuquerque Journal
2023-02-05
[14]
웹사이트
North Korean rocket puts object into space, angers neighbours, U.S.
http://uk.reuters.co[...]
2016-02-07
[15]
웹사이트
China worried over US-South Korea plans to deploy THAAD missile system - The Economic Times
http://economictimes[...]
2016-02-07
[16]
웹사이트
Korea says THAAD 'helpful' to security
https://www.koreatim[...]
2016-02-07
[17]
웹사이트
Sohae Satellite Launching Station: Post-Launch Clarity
https://www.38north.[...]
2023-05-31
[18]
뉴스
Sohae: North Korea begins dismantling key test site, satellite imagery suggests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19]
웹사이트
North Korea appears to be dismantling satellite launch site
https://www.cbsnews.[...]
[20]
웹사이트
More Progress on Dismantling Facilities at the Sohae Satellite Launching Station - 38 North: Informed Analysis of North Korea
https://www.38north.[...]
2018-08-07
[21]
웹사이트
North Korea reportedly readies nuclear, missile sites for inspectors
https://www.cnbc.com[...]
2018-10-31
[22]
웹사이트
North Korea's Sohae Satellite Launching Station: Activity at a Launch Pad Fuel/Oxidizer Bunker - 38 North: Informed Analysis of North Korea
https://www.38north.[...]
2018-10-10
[23]
웹사이트
After Hanoi Summit: Rebuilding of Sohae Launch Facility
https://beyondparall[...]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9-03-05
[24]
뉴스
North Korea Has Started Rebuilding Key Missile-Test Facilities, Analysts Say
https://www.nytimes.[...]
2019-03-05
[25]
뉴스
North Korean Missile Site Appears Operational, Images Show
https://www.wsj.com/[...]
2019-03-07
[26]
웹사이트
New satellite image shows activity at previously dismantled North Korean test site
https://edition.cnn.[...]
[27]
웹사이트
N. Korea says it has conducted 'very important test' at satellite launch site
https://en.yna.co.kr[...]
[28]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satellite launch fails, plans to try again
https://edition.cnn.[...]
2023-05-30
[29]
웹사이트
North Korea completes second missile site
https://www.reuters.[...]
Reuters
2011-02-17
[30]
웹사이트
N. Korea finishes new missile facility: reports
http://ph.news.yahoo[...]
The Korea Herald
2011-04-11
[31]
웹사이트
DPRK to Launch Application Satellite
http://naenara.com.k[...]
Naenara Times
2012-03-17
[32]
웹사이트
Foreign Media Persons and Experts on Space Science and Technology Visit Sohae Satellite Launching Station
http://naenara.com.k[...]
Naenara Times
2012-04-09
[33]
웹사이트
Kwangmyongsong-3 Ready to Launch
http://vtncankor.wor[...]
Korean Committee of Solidarity with the World People
2012-03-29
[34]
웹사이트
DPRK's Satellite Launch Not Contradictory to DPRK-U.S. Agreement — KCNA
http://vtncankor.wor[...]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2-03-20
[35]
웹사이트
Clues about North Korea's space plans come to light at last
https://www.nbcnews.[...]
NBC News
2012-04-09
[36]
웹사이트
Kwangmyongsong 3-2 Launch
https://archive.toda[...]
Zarya.info
2012-12-01
[37]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NHK
https://dictionary.g[...]
[38]
뉴스
東倉里、鴨緑江から80キロ…背後に中国の影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11-02-18
[39]
뉴스
北 ICBM発射基地になぜ東倉里を選んだか?“露出しない現代的な発射基地が必要…運搬能力を誇示・後継者象徴措置も”
http://japan.dailynk[...]
Daily NK
2009-06-01
[40]
뉴스
Rocket to cost North equivalent of feeding 19 million for 1 year
http://www.koreahera[...]
2012-04-02
[41]
뉴스
北朝鮮に新ミサイル発射タワー完工…近く米国が射程圏内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02-17
[42]
웹사이트
「衛星」打ち上げで落下海域を設定通告 南西諸島上空通過の可能性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2-03-20
[43]
웹사이트
ミサイル発射場解体進まず 米の分析サイト発表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10-05
[44]
웹사이트
北朝鮮ミサイル施設、復旧か 米大統領「事実なら失望」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03-07
[45]
뉴스
북한 미사일 발사, 동창리 발사장은 어떤 곳
https://news.naver.c[...]
MBN
2016-02-07
[46]
뉴스
북한 "신형 정지위성 운반로켓 엔진 분출시험 성공"
국제신문
2016-09-20
[47]
뉴스
한반도, 8월 위기는 오고 말 것인가?
프레시안
2013-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